부동산 시장의 변화는 매 순간 일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24년에 종료되는 정책과 신설되는 정책은 청년 신혼부부에게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바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24년 종료되는 부동산 정책
1.1. 특례보금자리론 종료
특례보금자리론은 24년 1월 29일까지만 신청 가능하고, 그 후 종료됩니다. 우대형 신청조건으로 주택가격 6억 이하, 부부 합산소득 1억 원이었으나, 12월 현시점에서는 일반은행 대출금리가 4%대로 낮아져 특례보금자리론의 메리트가 크게 사라졌습니다.
1.2. 중소기업청년 전세대출(중기청) 종료
중소기업을 다니는 직장인들에게 금리 1.5%, 최대 1억 대출이 가능한 대출이 종료됩니다. 12월에 원룸을 얻는다면 마지막 기회를 잡을 수 있으며, 운영이 종료되어도 연장이 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24년 신설되는 부동산 정책
2.1.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출시
청년들을 위한 혜택 좋은 청약통장이 24년 2월에 출시 예정되어 있습니다. 연소득 5,000만 원 이하, 만 19세-34세 무주택자가 가입 대상이며, 이자율은 최고 4.5%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기존의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은 출시 이후 자동으로 전환됩니다.
2.2. 청년 주택드림 대출
청약에 당첨된 경우 저금리로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분양가의 최대 80%까지 받을 수 있으며(최대 LTV 80%), 금리는 2.2%~3.6%로 차등 적용됩니다. 6억 이하의 주택, 소득 7천만 원 이하(기혼 1억)이면 대출이 가능하며, 1년 이상 1000만 원 이상 납입한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으로 당첨되어야 이용 가능합니다.
2.3. 신생아 특례대출
2.3.1. 구입자금 대출(주택담보대출)
24년 내 출산한 무주택 가구(23년 출생아부터 가능)가 부부합산 소득 1억 3천만 원 이하일 경우 최대 9억까지 대출이 가능하며, 금리는1.6%~3.3%입니다. 5년간 적용 이후 시중금리로 전환됩니다.
2.3.2. 전세자금대출
부부합산 소득 1억 3천만 원 이하, 보증금 5억 이하의 주택(비수도권 4억)에 대해 최대 3억까지 대출 가능하며, 금리는 1.1%~3%입니다. 4년간 적용 이후 시중금리로 전환됩니다.


3. 24년 바뀌는 부동산 세법
3.1. 혼인신고 전, 후 증여 1억 공제
혼인신고일 전, 후로 2년 이내 최대 1억을 공제해 줍니다. 기본공제 5천만 원 + 혼인신고 1억 공제로 부부 합산 시 3억을 증여받아 시작할 수 있습니다. 걱정되는 것은 강제로 부모님의 재산을 빠르게 증여받게 되는데, 부모님의 노후대비가 걱정스럽긴 합니다.
3.2. 자녀 출생 2년 이내 1억 공제
혼인공제와 통합으로 도합 1억 원 1억 원 공제가 적용되며, 부모님에게 아이 낳았으니 1억 원 증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부모님에게 아이를 낳았으니 1억을 증여를 요구하는 것 같은 느낌이 드네요.



4. 바뀌는 부동산 청약제도
4.1. 청약통장 개편
4.1.1. 신생아 특별공급 신설
임신 또는 출산 사실을 입증하면 혼인여부에 상관없이 2년 이내에 특별공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4.1.2. 부부 개별 청약 인정
부부 중복 신청이 가능하며, 먼저 신청한 청약이 유효합니다.
4.1.3. 배우자 청약 당첨이력 여부 배제
기존에는 생애최초 특별공급이 불가능했지만 혼인 전 배우자의 이력은 더 이상 고려되지 않습니다. 앞으로 혼인 전 배우자의 이력은 보지 않습니다.
4.1.4. 다자녀 기준 완화
기존 3명에서 2명으로 완화되었습니다. 현재는 공공분양에서만 2명 적용 중입니다.
4.2 청약통장 미성년자 인정기준 변경
기존 인정기간2년에서 5년으로, 인정 금액이 600만 원까지 확대되었습니다.
4.3. 청약통장 소득공제 확대
소득공제가 240만 원에서 최대 300만 원까지 확대됩니다.(최대 120만 원 소득공제)
4.4 맞벌이 소득 완화
월평균 소득 조건이 140%에서 200%로 완화됩니다.
5. 결론
24년의 부동산 정책 변화는 청년 신혼부부에게 많은 기회와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출산율 저조함을 여러 혜택을 부여해서 살리기 위함으로 보이는데요, 종료되는 정책에 대비하여 신설되는 정책과 변화하는 세법, 청약제도를 잘 활용해서 신혼부부 및 청년들에게도 주택시장에서 자리를 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보며, 혼인가구 증가, 출산율 증가로 긍정적인 영향을 많이 미치면 좋겠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부동산에 관심이 있는 청년 및 신혼부부 가구에게 꼭 해당 내용을 전달해 주셔서, 앞날을 계획하시는데 도움이 되시면 좋겠습니다.
'Invest > 재테크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차 수소차 보조금 충전소 요금 국고 지자체 보조금 세금 감면 혜택 (13) | 2023.12.13 |
---|---|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취업지원금 신청 방법 조건 (9) | 2023.12.13 |
네이버페이 머니카드 발급 혜택 포인트 정보 이벤트 실적 안내 (68) | 2023.12.09 |
친자확인 유전자 DNA 검사 비용 방법 절차 서류 (71) | 2023.12.05 |
로또방 복권방 창업 절차 신청방법 신청자격 창업비용 (54) | 2023.12.04 |
댓글